윈도우 10 디스크 100% 점유율 문제 해결 총정리!
갑자기 컴퓨터가 느려지진 않으셨나요? 종종 발생하는 디스크 100% 점유율 문제를 이번 글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순서대로만 따라 해주시면 해결할 수 있으니 차근차근 순서대로 따라해주시면 됩니다.
목차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 사용중지
- 키보드 윈도우키 + R 을 누른다.
- ‘services.msc’를 입력 후 엔터를 치거나 ‘확인’을 누른다.
아래 화면처럼 보이면 정상 실행 된 것입니다.
- 다음 항목을 찾습니다: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
- 해당 항목을 찾은 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해서 ‘속성’ 메뉴를 누릅니다.
- 아래 사진처럼 ‘시작 유형’을 “수동”에서 “사용 안함”으로 변경 합니다.
- 그다음 아래의 ‘적용’을 누르고 ‘확인’을 눌러 속성창을 닫습니다.
‘Connected User Experiences and Telemetry’ 사용 중지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항목중에
‘Connected User Experiences and Telemetry’를 찾아서
마우스 우클릭하고 ‘속성’을 누릅니다.
- 아래 사진처럼 속성창에서 ‘시작 유형’을 ‘사용 안함’으로 선택한 뒤
- ‘적용’ 누르고 ‘확인’ 버튼 눌러서 완료합니다.
‘Windows Search’ 사용 중지
- 또 위의 항목처럼 ‘Windows Search’를 찾아서,
- 마우스 우클릭해서 ‘속성’ 클릭합니다.
- 속성 창에서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바꾼 후
- 아래의 ‘적용 버튼’을 누르고 그 왼쪽의 ‘확인’ 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마무리합니다.
‘SuperFetch’ 비활성화 하기
- Windows 바탕화면에서 좌측 아래에 ‘명령 프롬프트’를 검색합니다.
-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3.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
net.exe stop superfetch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Superfetch가 성공적으로 멈춘 것입니다.
The Superfetch service is stopping
The Superfetch service was stopped successfully
위의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페이지에서 ‘SysMain’을 찾아 마우스 우클릭, ‘속성’을 누릅니다.
- 아래 사진처럼 속성 창에서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선택합니다.
- ‘적용’ 버튼 누르고, ‘확인’ 버튼 눌러서 마무리 합니다.
방법 5: 기기 드라이버 업데이트
위의 단계들로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다음으로 기기 드라이버의 업데이트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내 컴퓨터에 맞는 드라이버가 어떤 것인지 알기가 어렵죠.
오히려 잘못된 드라이버를 설치했다가 다른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Driver Easy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내 컴퓨터에 맞는 드라이버를 찾아서 업데이트할 수 있으니 하단에 소개된 방법을 알아보세요!
Driver Easy 다운로드 사이트 바로가기 링크
▼ 상단의 링크를 사용해 Driver Easy 사이트에 접속해서 Driver Easy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상단 링크로 사이트 접속 후 다운 받은 뒤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지금 검색을 눌러주세요.
무료 버전과 프로 버전이 있는데, 무료 버전으로도 모든 드라이브를 검색해서 업데이트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좀더 빠른 속도로 다운로드 받고, 자동 업데이트 기능과 자동으로 업데이트 전의 복원 지점을 만들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방법 6: 손상된 파일 복구
손상된 시스템 파일이 100% 디스크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reimage라는 프로그램으로 시스템 구성과 하드웨어 진단을 통해 손상된 파일을 찾아 제거해서 디스크 오류를 없앨 수 있으니 아래 단계를 따라해주세요.
- reimage 프로그램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데이터 컴파일링이 수행되면서 컴퓨터 파일 상태를 스캔해서 보여줍니다.
아래 사진처럼 PC 스캔 요약이 나타나면, ‘바이러스’ 글자를 클릭해서 악성 프로그램을 확인합니다.
아쉽게도 악성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기능은 유료이기 때문에, 아래 사진처럼 파일 주소를 확인해서 직접 삭제해주면 됩니다.
방법 7: Windows 팁 표시 끄기
‘앱 및 다른 보낸 사람의 알림 받기’와 ‘Windows에 대한 팁 표시’를 ‘끔’으로 체크합니다.
여기까지 무사히 완료하셨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보이면 해결이 되신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재부팅하고 마우스 우클릭해서 [작업관리자]로 들어가면 아래 사진처럼 0%거나 수치가 많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