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 2가지를 알아보고, 속도 저하 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KT 공식 인증된 속도 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t 인터넷 속도 측정 하기
kt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kt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먼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kt 홈페이지 바로가기
▼ 상단의 링크를 사용해 kt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로그인하시면 인터넷 속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혹여나 가입이 되지 않으신 분은 하단의 링크를 사용해 kt 회원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kt 홈페이지에서 가입하기
▼ kt 속도 측정 페이지에 도착했다면 아래에 보이는 3가지 속도 테스트인 메가급 / 기가급 / 10GB 속도 테스트 중 하나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 속도 테스트를 누르면 아래처럼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겠냐는 팝업창이 뜨는데요. 프로그램 설치를 안하면 속도 측정이 안되기 때문에 [확인]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페이지로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 속도 측정 프로그램을 설치할 차례인데요. 윈도우 또는 MacOS 중 여러분의 컴퓨터에 맞는 걸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 다운로드를 다 받았다면 바로 실행시켜주세요. 그러면 아래 사진처럼 팝업 창이 뜨는데요. 아래의 ‘다음’ 버튼을 눌러서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 KT 속도 측정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권 계약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입니다. 중간에 나온 계약 내용에 대해 읽어보신 후 아래의 ‘다음’ 버튼을 눌러서 넘어갑니다.
▼ 다음 화면은 별 내용 없습니다. 이 프로그램이 초고속 인터넷 기가 속도 측정용 프로그램이라는 문구만 보이는 건데요. 마찬가지로 아래의 ‘다음’ 버튼을 눌러서 넘어가 줍니다.
▼ 이제 설치 전 마지막 단계입니다. 아래의 ‘설치’를 클릭하면 본격적으로 KTSpeedClient 속도측정 프로그램 설치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KT 인터넷 속도 테스트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중입니다. 몇 초만 기다려 주시면 됩니다.
▼ KT 속도측정 소프트웨어가 무사히 설치된 화면입니다. ‘종료’를 클릭해 마무리해주세요.
이제 설치가 완료 되었기 때문에 다음에 재설치 할 필요 없이 홈페이지에 로그인만 하면 언제든지 kt에서 인터넷 속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다시 홈페이지로 돌아옵니다. 혹여나 kt 홈페이지를 종료한 분은 하단 링크를 사용해 다시 KT 속도측정 페이지에 접속해줍니다.
kt 속도측정 페이지 바로가기
▼ kt 속도측정 사이트로 돌아왔다면, [속도 테스트]를 클릭해 바로 인터넷 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이제 본격적으로 kt에서 인터넷 속도가 측정되는 모습인데요.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 응답속도, 지연 시간(ms), 손실율(%)을 측정해줍니다.
▼ 속도가 측정이 완료되면 아래처럼 팝업창이 뜨면서 내 기기의 정보(운영체제,메모리,브라우저,CPU)가 보이고요. 더 아래에 보시면 다운로드 속도 및 업로드 속도의 최대 값, 평균 값, 최소 값, 편차가 보입니다. 더 아래에는 UDP 지연 시간과 손실율의 최대 값, 평균 값, 최소 값, 편차를 볼 수 있고요. 가장 아래에는 경로추적이라고 각 호스트(IP 주소) 별 지연 시간이 보입니다.
▼ 팝업창을 종료해도 아래처럼 중요한 속도 테스트 결과들이 보여집니다. 다운로드 평균 속도, 업로드 평균 속도, 응답속도(UDP), 경로 추적, OS, RAM, CPU, 브라우저 정보들을 볼 수 있습니다.
KT 인터넷 속도 저하 보상 받기 위해 속도 측정하기
KT 인터넷 속도 저하로 인한 보상을 받고 싶다면 KT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제공하는 품질보증 테스트로 속도측정을 해야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KT 인터넷 속도측정 사이트 바로가기
▼ 상단의 링크를 사용해 KT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먼저 로그인을 해야 품질보증 테스트로 속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및 회원 가입은 하단 링크로 접속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KT 로그인 링크 바로가기
▼ 상단의 링크로 로그인을 하셨다면 이제 품질 보증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데요. 아래의 [속도 테스트] 버튼을 눌러 속도측정을 진행한 후 측정 결과가 보증 기준인 최저보장속도 50% 미만으로 미달(5번 측정 중 3번 이상 기준 미달)에 해당되면 자동으로 보상 접수가 진행됩니다.
즉, 주기적으로 품질 보증 테스트를 하여 보장 속도 50% 미만이 3번 이상으로 측정되면 자동으로 보상 접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이제 품질보증 테스트로 인터넷 속도가 측정되는 모습입니다. 총 5번을 측정하는데요. 각 측정마다 300초(약 5분)씩 기다렸다가 진행이 되오니 잠시 다른 볼일을 보고 오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속도측정이 다 완료되면 아래처럼 측정 일자와 상품명, 측정횟수, 미달횟수 등의 정보들을 볼 수 있습니다. 총 5번 측정을 하고 3번 이상 최저 수치보다 미달이 되면 자동 접수가 되는 데 저는 5번 모두 최저 속도 기준 이상이라 보상 접수가 되진 않았습니다.
여기까지 KT 속도 측정 방법 2가지에 대해 알아봤고요. 위의 측정 결과가 3개 이상 미달이 나온다면 자동으로 접수가 되기 때문에 꼭 제대로 보상 받으시길 바랍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번거롭겠지만 주기적으로 품질테스트로 속도 측정을 하는 것입니다. 혹여나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싶은데 까먹을 것 같다 하시는 분은 아래의 일정 관리 앱을 통해 매주 한 번 씩 알람을 맞춰 놓으시면 까먹지 않고 제 때에 측정해서 혹여나 미달이 될 수 있을 때 제대로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단에는 정확한 인터넷 속도측정 사이트들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 링크가 많으니 참고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