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UI 사용법 및 무료 설치 (AI 실사 그림 학습시키기 모델)

Stable Diffusion WebUI 설치부터 사용법까지 만만치 않은데요. 이번 글에서는 사용법과 무료 설치 방법 그리고 AI 실사 그림 학습 시키기 모델 내용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설치를 하려는 분은 이 글을 순서대로 읽으시면 되고요. (2)사용법이 궁금한 분은 아래의 목차에서 사용법 부분을 클릭해서 읽어보시면 됩니다.

WebUI 설치하기

  1. 스테이블 디퓨전 WebUI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HuggingFace 사이트에 접속해주셔야 합니다.

huggingFace에서는 Stable Diffusion web ui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공지능 관련된 최신 모델과 데이터셋들을 제공해줍니다. 다른 사용자가 만든 이미지나 모델을 참조해 나만의 창의적인 AI 이미지나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huggingface 사이트 바로가기 링크

▼ 상단의 링크로 huggingface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Hugging Face 사이트에 가입하기

 

3.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회원 가입하기

 

4. git for window 다운 받기

갑자기 뭔 git인가 싶을 수 있는데요. git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나중에 Web UI를 명령어 한 줄로 설치할 수 있어서 굉장히 편리합니다. 다운로드 방법도 쉬우니 아래에 이어서 따라해 보세요.

 

5. git for windows 설치하기

 

6. window에서 ai 이미지 폴더 만들기

 

7. ai image 폴더 만들기

 

8. github에서 stable diffusion webui 다운로드받기

github로 이동해서 검색 창에 ‘stable-diffusion-ui’를 입력해서 아래 사진처럼 AUTOMATIC1111/stable-diffusion-webui가 나타나는데요. 대부분 맨 위에 나오는 결과가 stable diffusion webui일거예요. 그걸 클릭해서 이동합니다.

 

9. github에서 WebUI의 url 복사하기

아래의 2단계 순서대로 따라해 주세요.

  1. 오른쪽의 초록색 버튼인 ‘Code’를 클릭한 후
  2. 바로 아래의 복사하기 아이콘을 클릭해서 복사합니다.

 

▼ 10.  git bash에서 명령어 입력해서 다운 받기

Git Bash로 이동할 차례인데요. Git Bash가 생소한 분들을 위해서 잠깐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Git Bash는 글자로만 컴퓨터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Git Bash를 사용하는 이유는 단지 Github에 있는 코드를 빠르게 내 컴퓨터로 다운로드 받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Git Bash의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명령어 한 줄만 입력하면 바로 내 PC에 다운로드가 되기 때문에 처음에는 좀 낯설 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이것보다 더 편한 방법이 없을 정도입니다. 그럼 이어서 진행해보죠.

git clone을 입력한 후 한 칸 띄어쓰기 한 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Paste’를 눌러 방금 복사한 url을 붙여 넣기 해준 후 엔터키(Enter)를 눌러주면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 huggingFace에 가서 다음으로 hugging face에 있는 stable diffusion 파일을 다운로드 할 차례입니다.

검색창에 ‘stable’을 입력하면 여러 모델(Models)들을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원본 버전인 1.4 original을 다운 받기 위해 아래 사진처럼 ‘ComVis/stable-diffusion-v-1-4-origianl’ 모델을 클릭해 이동합니다.

 

▼ Stable Diffusion 1.4 버전의 파일 다운로드 받기

ckpt 파일 클릭해서 다운로드를 시작합니다. 참고로 ckpt 파일은 텐서플로우라는 라이브러리에서 훈련된 모델을 저장하려고 쓰이는 파일 확장자인데요. 텐서플로우와 라이브러리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은 AI 모델을 저장한 파일이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완전히 이해 못하셔도 web ui를 사용하는 데 전혀 지장 없으니 걱정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해당 파일의 용량은 4GB로 꽤 크기 때문에 다운로드 받는 데 시간이 좀 걸릴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 파이썬 다운로드 받기

ckpt 파일을 다운 받는 동안 파이썬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이 ckpt 파일을 파이썬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실행시킬 것이기 때문입니다.

파이썬 사이트 바로가기 링크

▼ 상단의 링크로 접속해 파이썬 공식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파이썬 설치하기

방금 다운 받은 파이썬 파일을 실행해서 설치를 진행해줍니다.

 

아래 사진처럼 파이썬이 설치가 되고 있는 중입니다.

 

파이썬 설치가 완료된 화면입니다. 오른쪽 아래의 [Close] 버튼을 클릭해서 종료합니다.

 

여기까지 파이썬을 설치한 거고요. 다음으로 아까 전에 다운로드 받은 stable diffusion webui가 있는 폴더로 이동해보겠습니다.

 

다시 stable-diffusion-webui 폴더로 이동한 후 webui-user.bat 파일을 실행합니다. 정확한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여러분이 만든 폴더명 > stable-diffusion-webui 폴더 > webui-user.bat 파일 실행하기

 

혹시나 오류가 발생했다면 파이썬을 3.10 버전으로 다시 설치해서 해결 할 수도 있는데요. 아래 순서대로 따라해 주세요.

  1. 윈도우에서 ‘프로그램 추가/삭제’를 실행하여 파이썬 3.11 이상의 버전을 삭제해주세요.
  2. Stable Diffusion 폴더도 다시 삭제해 줍니다.
  3. 하단의 링크로 접속해서 파이썬 3.10 버전을 다시 다운로드 후 실행해줍니다.
파이썬 3.10 바로가기 링크

4. 다시 stable-diffusion-webui 폴더로 이동해서 webui.bat 파일을 실행하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아래 사진처럼 100%라는 글자가 보이고 그 아래에 URL을 볼 수 있는데요.

이 URL을 복사한 후 크롬 브라우저에 가서 붙여 넣기 해서 그 URL에 접속해줍니다.

브라우저에서 해당 URL로 접속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설치가 완료된 화면입니다. 이제 상상하는 모든 이미지들을 생성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WebUI 사용법

일단 가볍게 이미지 하나 만들어보기

Stable Diffusion web ui로 가볍게 이미지를 하나 만들어보기 위해 아래처럼 순서대로 따라해 주시면 됩니다

  1. Stable Diffusion web ui 실행한 후
  2. Prompt에 ‘a cute image of woman’를 입력한 후
  3. Batch size를 8로 바꿔서 생성할 이미지의 개수를 8개로 설정합니다.
  4. 오른쪽에 ‘Generate’ 버튼을 클릭하면 이미지가 자동 생성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관련된 유용한 바로가기 링크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