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변수를 설정하면 내 컴퓨터의 어떤 위치에서도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환경 변수 설정 방법을 통해 내가 원하는 파일과 폴더를 어디서든 실행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환경 변수란?
환경 변수는 내 컴퓨터의 하드 드라이브 안에서 위치를 몰라도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문자열로 된 변수입니다.
환경 변수를 더 이해하기 쉽게 환경 변수를 중앙 저장소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내 컴퓨터의 어떤 폴더에 있든지 그 환경 변수라는 중앙 저장소에 언제든지 접근해서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윈도우 10 환경 변수 설정 방법
먼저 윈도우 화면 왼쪽 아래의 ‘찾기’를 누른 후에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을 검색한 후 클릭해서 실행해줍니다.
시스템 속성 창이 뜨면 아래의 [환경 변수]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환경 변수 2가지를 설정할 수 있는데요. ‘PC에 대한 사용자 변수’ 말고 아래에 있는 [시스템 변수] 안의 ‘Path’를 선택한 후 아래의 [편집]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환경 변수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났는데요. 여기서 오른쪽의 (1)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한 후 (2)실행하고 싶은 폴더나 파일의 주소를 붙여 넣기 해줍니다. 다음으로 (3)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여기까지 윈도우 10 환경 변수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환경변수 설정 이유
- 파이썬 환경 변수
- 리눅스 환경 변수
- 윈도우 11 환경 변수 설정
- mysql 환경 변수
- nodejs 환경변수
- docker 환경변수
- 아나콘다 환경변수
- react 환경변수
- flutter 환경변수
- ubuntu 환경변수
- git 환경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