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듀얼모니터 연결, 설정 하는법, 주의점

윈도우 10 듀얼모니터 연결 하는 법, 설정 하는법, 주의할 점 모두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윈도우 10 듀얼 모니터를 연결하기에 앞서서 준비물이 있습니다. 아래의 2가지를 준비해 주세요.

원래 사용하던 모니터 외에 추가하고 싶은 모니터에 대해 아래의 2가지를 준비해 주시면 됩니다.

  1.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해줄 전원 케이블
  2.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해줄 케이블

듀얼 모니터 연결 방법

듀얼 모니터 연결을 해보겠습니다.

  1. 모니터와 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모니터와 본체에 꽂아줍니다.

이 때 외장 그래픽이 없는 컴퓨터와 외장 그래픽이 탑재된 컴퓨터의 연결 방법이 다른데요.

먼저 외장 그래픽이 없는 컴퓨터의 듀얼 모니터 연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외장 그래픽 없는 PC의 듀얼 모니터 연결 방법

먼저 외장 그래픽 없는 PC의 듀얼 모니터 연결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외장 그래픽 없는 PC 본체는 가로가 아닌 세로로 케이블(전선)을 꽂을 수 있습니다. 케이블의 끝 부분 모양을 보시고 본체의 모니터 연결 부위인 포트에 꽂아줍니다. 참고로 아래 사진의 왼쪽 연결부는 HDMI라는 연결부이고, 오른쪽의 연결 부위는 VGA라는 연결 부위입니다.

#1-2 전원 케이블 연결하기

전원 케이블은 모니터의 포트 중에 맨 왼쪽에 보이는 동그란 부위에 연결해 주고요.

다음으로 케이블의 반대편은 콘센트에 꽂아주면 전력을 공급 받아 전원을 켤 수 있게 됩니다.

이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으면 당연히 모니터의 불이 들어오지 않으니 꼭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여기까지 따라하셨다면 내장 그래픽만 탑재된 PC의 듀얼 모니터 연결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이고요.

그 다음으로 듀얼 모니터 설정 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이 글의 아래 부분의 ‘듀얼 모니터 설정 방법’이라는 목차를 읽어보시면 됩니다.

외장 그래픽이 탑재된 PC의 듀얼 모니터 연결 방법

외장 그래픽이 탑재된 PC라면 아래 사진 처럼 가로로 모니터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본체에는 모니터 케이블을 꽂을 수 있는 포트들이 가로 모양이 배치된 걸 볼 수 있는데요. 이렇게 가로로 배치된 포트가 외장 그래픽이 탑재되었다는 뜻입니다.

여기에 케이블의 끝 부분의 모양을 확인한 후 꽂아줍니다. 위치는 상관 없습니다. 만약에 2번째와 3번째 포트의 모양이 똑같다면 아무 포트에 꽂아줘도 작동합니다.

그리고 나서 전원 케이블을 모니터에 꽂아준 후 반대편 연결 부위를 콘센트에 연결해주면 됩니다.

듀얼 모니터 설정 방법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디스플레이 설정’을 클릭해줍니다.

 

디스플레이 설정 화면이 나타나면 연결된 모니터 개수와 번호가 보일텐데요. 마우스로 모니터를 끌어서 위치를 이동 시킬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모니터를 왼쪽으로, 왼쪽에 있는 모니터를 오른쪽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 [식별]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처럼 모니터의 번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적용] 버튼을 누르면 바뀐 위치 화면에 그대로 적용되어 보여지게 됩니다. 2번 모니터가 왼쪽에 위치해 있다면 실제 2번 모니터가 왼쪽에서 보여집니다.

 

스크롤을 좀 내린 후 ‘여러 디스플레이’라는 글자 아래의 드랍 다운 메뉴를 클릭한 후 [디스플레이 확장]으로 선택해줍니다. 그러면 화면을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 복제]를 클릭하면 모든 모니터 화면에서 동일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