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등록번호 조회 방법 4가지 총정리 – 초간단 20초 컷

거래하려는 상대가 합법적인지 또는 사기나 거짓말은 하지 않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요. 최소한 사업자등록번호 조회로 거래 상대의 사업자 번호가 거짓이거나 정상 사업 중인지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업 상 큰 손해를 보고 싶지 않거나 사기를 방지하고 싶은 분은 사업자 등록번호 조회는 선택이 아닌 필수 입니다! 바로 확인해 보시죠!

▽ 1번째로 가장 빠르게 상호명으로 사업자 등록번호 조회 하는 방법은 하단 링크를 통해 BizNo 사이트에서 사업자 번호를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bizno 홈페이지 바로가기 링크

▽ 2번째 국세청에서 과세 유형과 사업 상태가 진행중인지 휴업이나 폐업은 아닌지 확실히 알고 싶을 때 하단의 링크를 사용해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링크

▽ 3번째: 대표자명(이름), 상호명, 통신판매 번호 등으로 사업자 번호 조회를 하고 싶다면 하단 링크를 사용해 공정 거래 위원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공정 거래 위원회 사이트 바로가기 링크

▽ 4번째: 규모가 큰 회사의 상호명이나 업종 코드로 조회 하고 싶다면 하단의 링크를 통해 DART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ART 사이트 바로가기 링크

Bizno 사업자 등록번호 조회 하기

bizno 사이트에 접속하면 사업자등록번호, 상호명, 법인등록번호로 조회 할 수 있습니다.

bizno 홈페이지 바로가기 링크

▼ 상단의 링크를 통해 BizNo 홈페이지에 접속하자마자 사업자 등록 번호와 상호명을 입력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사업자 번호 조회 할 때 지역별로도 조회 할 수 있습니다: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 강원, 제주, 인천, 부산, 대구, 대전, 울산, 광주, 세종

특정 사업자 번호의 세부 정보 보기

▼ 사업자 번호가 조회된 결과 목록에서 사업자 번호를 클릭하면 해당 사업자의 세부 정보를 아래 사진처럼 볼 수 있습니다.

▲ 특정 사업자의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업태, 종목, 전화번호, 팩스번호, 기업규모, 법인형태, 세무서, 설립일(신고일), 회사 이메일, 대표자명, 사업자 현재 상태, 법인등록번호, 사업자 등록번호, 과세유형, 주요제품, 종업원수, 홈페이지, IR 홈페이지, 우편번호, 회사주소, 결산월, 약도

 

여기까지 bizno 사이트에서 사업자등록 번호 조회 하는 법을 알아봤는데요. 만약 실시간으로 사업자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에 소개된 국세청 홈택스로 사업자 등록 번호 조회하는 법을 알아보시면 확실합니다.

참고로 아래의 3번째 조회 방법은 대표자 이름으로 조회하는 법이니 궁금한 분은 스크롤을 좀 내려 바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홈택스 사업자등록번호 조회하기

상대의 과세 유형과 사업 상태가 진행 중인지 휴업이나 폐업인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링크

▼ 상단의 링크로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업자 등록번호 조회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도착했다면 아래 사진처럼 상단의 [조회/발급] 링크에 마우스를 갔다 댄 후 아래로 스크롤을 내리면 [사업자상태] 글자가 보이고 그 바로 아래에 보이는 [사업자등록번호로 조회] 글자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 아래 사진처럼 사업자 등록 번호를 입력하는 칸이 보일 텐 데요. (1)입력 칸에 사업자 번호 11자리를 “-” 기호 없이 숫자만 입력해줍니다. 그 다음으로 오른쪽의 [조회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조회된 결과 화면은 아래에 이어서 보여드리겠습니다.

 

▼ 드디어 사업자 등록번호가 조회된 결과를 아래 사진처럼 볼 수 있을 겁니다. 3개의 항목으로 사업자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볼 수 있고요. 조회 결과에 대한 설명을 사진 아래에 이어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 (1)사업자 등록번호와 (2)사업자 등록 상태 및 (3)조회 기준 일자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사업자 등록 상태를 보면 언제 일반과세자로 전환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도 볼 수 있고요. 일반과세자인지 간이과세자인지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있습니다. 또는 사업을 진행 중이지 않은 경우 사업자 상태가 휴업인지 폐업인지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부가세 일반과세자인 경우 문구엔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입니다”를 볼 수 있고요.

폐업한 상태라면 “폐업자”로 명시되고 “폐업일자”가 “2022-03-05”와 같은 형태인 걸 볼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국세청 홈택스에서 사업자 등록번호 조회 하는 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만약 상대 대표자명이나 상호명, 통신판매번호를 알고 있다면 아래에 소개해드리는 공정 거래 위원회에서 더 자세하게 조회가 가능하오니 바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

공정 거래 위원회에서 상호 명, 대표자 명, 통신 판매 번호로 알아보기

상대가 통신 판매 사업자로 등록된 경우라면 공정 거래 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사업자 등록 번호 뿐만 아니라 상호, 통신판매번호, 대표자 명으로 검색 및 조회가 가능합니다.

공정 거래 위원회 바로가기 링크

▼ 상단의 링크를 통해 공정 거래 위원회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사업자 정보 공개 페이지로 가면 사업자 등록 번호 조회가 가능합니다.

 

▼ 공정 거래 위원회 홈페이지에 도착했다면 아래 사진처럼 상단 메뉴인 [정보공개]에 마우스를 갔다 대면 아래에 여러 항목들이 나타나는데요. 이 항목들 중에 [사업자정보공개] 항목 아래에 있는 [통신판매사업자] 글자를 클릭해줍니다.

 

▼ 이제 사업자번호 및 통신판매번호를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인데요. 스크롤을 아래로 좀 내리면 아래 사진처럼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통신판매번호, 대표자 이름으로 조회할 수 있는 입력 창이 보이실 겁니다.

저는 여기서 ‘와우’라는 단어를 입력한 후 오른쪽의 [검색] 버튼을 눌러 검색해봤고요. 검색 결과에 대한 7가지 항목에 대한 설명은 사진 아래에 이어서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조회 결과 – 7가지 항목에 대한 설명

  1. 번호: 별 뜻 없이 검색된 결과의 개수입니다. 2000이라는 번호가 있다면 2000번째의 글이라는 뜻입니다.
  2. 지역: 시, 도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절다북도, 대전광역시 등을 볼 수 있습니다.
  3. 상호: 말 그대로 상호명이 보입니다.
  4. 대표자: 말 그대로 대표자 이름입니다.
  5. 도메인: 운영되는 홈페이지 주소도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독립적인 쇼핑몰 주소(https://smartstore.naver.com/~~~), 오픈마켓, 홈페이지 주소 없는 경우
  6. 신고현황: 모두 “통신판매업 신고”라고 쓰여진 걸 볼 수 있습니다. 이 곳에서 조회되는 모든 사업자는 신고현황에 [통신판매업 신고]라고 쓰여진 걸 알 수 있습니다.
  7. 신고일자: 말 그대로 신고를 언제 했는지 년, 월, 일에 대한 정보를 2022-05-04 형태로 보여줍니다.

 

▼ 각 업체의 정보 더 자세히 보기

조회 검색된 결과에서 원하는 업체를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해당 업체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국세청 홈택스에서 조회해서 볼 수 있었던 간단한 정보와는 비교도 안되게 많은 정보를 볼 수 있는데요. 총 15개의 항목으로 어떤 정보들을 볼 수 있는지 사진 아래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해당 업체의 자세한 정보들 15가지 항목 아래에서 알아보기

  1. 통신판매번호: 말 그대로 통신 판매업 신고할 때의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입니다.
  2. 사업자등록번호: 총 11자리
  3. 신고현황: “통신판매업 신고”라고 다 적혀져 있고, 이는 통신판매업 신고가 된 상태입니다.
  4. 인 여부: 개인 사업자 혹은 법인
  5. 상호: 회사 이름
  6. 대표자명: 대표자 이름
  7. 대표 전화번호: 010으로 시작하는 핸드폰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지역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예 번호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8. 판매방식: 대부분 ‘인터넷’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인터넷’으로 적힌 걸 볼 수 있습니다.
  9. 취급품목: 다양하게 종합몰에서부터 의류, 뷰티, 잡화, 패션, 여행, 자동차, 도서, 완구, 오락, 사무용품, 컴퓨터 등의 품목을 취급합니다.
  10. 전자우편(E-mail): 이메일 주소
  11. 신고 일자: 20220102 형식으로 신고 된 년도와 월, 날짜를 적습니다.
  12. 사업장 소재지
  13. 사업장 소재지 (도로 명)
  14. 인터넷 도메인: 대표 쇼핑몰 주소를 적습니다.
  15. 통신판매업 신고기관명

여기까지 공정 거래 위원회에서 사업자번호, 상호명, 대표자명, 통신판매 번호로 조회하는 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주의할 점은 이 방법은 통신판매업이 등록된 사업자만 조회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만약 통신판매업이 등록되지 않은 사업자를 조회하고 싶다면 위에 소개된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해서 사업자 번호 조회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트 전자공시 시스템 – 상장된 법인 조회

회사명, 종목 코드로 조회할 수 있으며 상장된 법인만 조회 할 수 있습니다.

다트 전자공시 시스템 바로가기 링크

▼ 상단의 링크로 다트 전자공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상장된 법인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다트 전자공시 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했다면 아래 사진 처럼 [회사명] 입력창에 조회 하고 싶은 회사명이나 종목 코드를 입력한 후 [검색]을 누릅니다.

단어를 입력하면 아래 사진처럼 여러 기업 이름들이 보이는데요. 원하는 상호명을 선택한 후 [검색]을 눌러줍니다.

 

▼ 회사명으로 검색한 화면으로 아래 사진처럼 [공시대상회사], [보고서명], [제출인], [접수일자], [비고]가 보입니다. 각 기업 별로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공시대상회사] 칸 아래에 있는 회사 이름을 클릭하면 해당 기업의 구체적인 정보를 볼 수 있는데요. 사진 아래에 이어서 살펴보겠습니다.

 

▼ 팝업창이 뜨면 아래 사진처럼 해당 기업의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회사 이름, 영문명, 공시회사명, 종목코드, 대표자명, 법인 구분, 법인 등록 번호, 사업자 등록 번호, 주소, 홈페이지, IR 홈페이지, 전화번호, 팩스 번호, 업종명, 설립일, 결산월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보고서 살펴보기

▼ 다시 조회 결과 목록으로 돌아와서 [보고서명] 아래에 보이는 보고서 이름을 클릭해서 보고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임원 변동 여부, 주식 처분 결과 보고서, 분기 보고서, 반기 보고서 영업 실적 등 다양한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사업자등록번호 조회 방법 4가지를 모두 알아봤고요.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

빠르게 상호명이나 사업자 번호로 조회 하고 싶으면 Bizno에서,

2번째 조회 방법인 사업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으면 국세청에서,

대표자명과 통신판매번호로 조회하고 싶으면 공정 거래 위원회에서,

큰 규모의 기업을 상호명으로 조회 하고 싶으면 DART 사이트로 조회하는 법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