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트족(neet)이란? 뜻 원인, 한국 일본, 탈출, 테스트

니트족(neet족)이란? 뜻 정의 쉽게 알아보기

니트족은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적극적으로 무직이나 취업 포기를 하려는 청년 무직자입니다.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는 캥거루족인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일할 의지가 있는 실업자와 달리 의지가 없어서 취업 교육, 직업 훈련을 받지 않는 게 특징입니다.

또한 프리터족은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반면 니트족은 아예 일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니트족의 정의는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므로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 영국 16~18세, Not it education, work or training
  • 일본 15~34세, 비경제 활동 인구 중 학교를 졸업한 후 미혼자이면서 가사, 통학을 하지 않는 자

니트족의 유래

  • 영국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1990년대 유럽에서 일본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고 합니다.

니트족 증가 원인

  • 상대적 박탈감에 의해 노동 의욕이 없습니다. SNS만 들어가도 금수저들의 생활을 볼 수 있으니까요.
  • 오랫동안 공부하고 학위를 얻어도 취업을 보장해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 전공과 다른 취업 업무에 대한 허탈감, 자괴감, 괴리감, 의욕 상실 등
  • 코로나로 인해 본인 전공과 관련된 오프라인 업무의 중단
  • 부당한, 과도한 업무량에 대한 힘듬, 부당함, 좌절감
  • 결혼과 출산에 따른 경력 단절
  • 부모님 용돈을 받으면 직접 돈을 벌지 않아도 먹고 살 수 있다는 생각

니트족 문제점, 국내 니트족 현황과 시사점

  •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지 않는 사회적 문제로 국가 생산력의 큰 손실이다.
  • 국내 총생산이 감소될 수 있다고 한다.
  • 부모 세대의 경제적 부담이 커진다.

니트족 비율

  • 2015년 기준 대학을 졸업한 청년 4분의 1이 니트족이라고 합니다.
  • 2021년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청년층 15~29세의 실업률은 2016년 대비 낮아지고 있고, 고용률은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그러나 통계에 잡히지 않는 니트족도 있어 정확한 실태파악은 어려운 실정이다.

니트족 탈출한 경우, 취업 성공

  • 최대한 본인의 전공과 비슷한 업무를 찾고,
  • 자신의 학위를 기준으로 좀 더 낮은 곳에 취업을 시도하는 경우에 탈출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 여러 일들을 시도하다가 자신에게 맞는, 좋아하는, 적성에 맞는 일을 찾은 경우

30대 니트족

  • 30대 여성의 경우 출산으로 인한 경력 단절로 니트족이 된 경우가 많다.
  • 캥거루족으로 생활비를 부모에게 받으면서 사는 경우가 있다.

니트족 테스트

아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yes’가 나온다면 니트족이다.

  • 일할 의지가 없는지?
  • 현재 직장을 다니고 있지 않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