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스칼라 사용법&꿀팁 ( 학술 검색 방법 )
구글 스칼라는 논문, 간행물, 법률정보, 단행본, 디지털 레포지토리 등 학술 정보를 모두 검색할 수 있는 학술 전용 검색 엔진입니다. 구글 스칼라 사용법과 꿀팁을 아래에서 바로 확인해보죠!
구글 스칼라 사용법&꿀팁 ( 학술 검색 방법 ) 알아보기
구글 스칼라 접속하기
가장 먼저 구글 검색 엔진이나 포털 사이트에서 ‘구글 스칼라’를 검색하면 최상단에 ‘Google 학술 검색 – Google Scholar’라는 이름의 사이트가 보이는데 이 사이트 링크를 클릭해서 접속합니다.
이제 구글 학술 검색 입력창이 보이고 바로 아래에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라 – 아이작 뉴턴’이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여기에 검색어를 입력해서 논문을 찾을 수 있는데요. 모든 언어 검색과 한국어 웹에서만 검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검색할 때 원하는 결과를 더 빨리 찾을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에 이어서 계속 읽어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
원하는 검색 결과 더 빨리 찾는 법
“ ” 쌍따옴표로 정확한 검색 결과 찾기
검색할 때 단어를 쌍따옴표로 감싸주면 이 단어가 본문이 아니라 제목에만 들어가는 결과들을 찾아줍니다. 당연히 더 정확한 검색 결과를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슬라 라고 검색하면 제목에 테슬라 라는 단어가 없고 본문에만 있더라도 찾아주기 때문에 검색 결과의 관련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요.
반면에 ‘테슬라’라고 검색하면 제목에 ‘테슬라’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검색 결과는 줄어들지언정 더 정확한 검색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플러스로 여러 단어 동시 검색하기
플러스를 단어 사이에 적으면 여러 단어들을 한번에 학술 논문 검색 가능한 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 플러스 앞뒤로 띄어쓰기가 존재하면 안됩니다.
EX) 사회+경제
– 마이너스로 불필요한 단어 빼고 검색하기
불필요한 단어를 빼서 논문 검색 가능합니다. 주의할 점은 마이너스 앞뒤로 공백이 있으면 안된다.
EX) 사회-한국
위의 예시처럼 검색을 하면 ‘사회’라는 단어가 들어간 검색 결과 중에 ‘한국’이라는 단어
영어로 더 많은 검색 결과 보기
더 많은 검색 결과로 보기 위해서 구글 학술 검색 첫 화면에서 ‘모든 언어’와 ‘한국어 웹’ 중 하나를 선택해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모든 언어’ 옵션을 선택해서 검색하면 더 많은 검색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어로 검색 결과가 많지 않다면 영어가 되시는 분은 영어로 검색하면 당연히 더 많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구글 시크릿 모드
구글 스칼라도 구글 학술 정보에 특화되어 있을 뿐이지 검색 엔진이기 때문에 과거 검색 기록을 참고해서 현재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그래서 구글을 시크릿 모드로 접속해서 과거 검색 결과가 현재 검색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해줍니다.
- 구글 시크릿 모드
내 서재로 저장한 논문 다시 읽기
내 서재에서 다시 읽고 싶은 학술 논문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 놓으면 지금 미쳐 다 읽지 못한 논문이나 나중에 리서치를 하고 싶거나 인용을 하고 싶을 때 간단하게 내 서재에 들어오면 저장해 놓은 논문을 다시 볼 수 있습니다.
대학교 자료 검색 방법
- 왼쪽 위의 가로 선 3개로 된 아이콘을 클릭해줍니다.
- 왼쪽 맨 아래의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설정 메뉴 클릭
- 왼쪽의 매뉴에서 ‘라이브러리 링크’를 클릭합니다. 라이브러리 링크 클릭
- 입력창에 대학교 이름을 적고 오른쪽 돋보기 아이콘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면 검색이 됩니다.
- ‘저장’ 버튼을 누르면 해당 대학교로 자료 검색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해당 대학교의 회원만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대학교 아이디로 로그인을 해야 학술 검색이 가능합니다.
- 구글 스칼라 저작 검색 ( 구글 스칼라 사람 검색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