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 인증서가 공동 인증서로 바뀐지 몇 년이 흘렀지만 지금도 혼용해서 쓰이고 있기 때문에 헷갈리곤 하죠. 저도 공인 인증서와 공동 인증서가 완전히 동일한 개념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조금 바뀐 부분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공인 인증서와 공동 인증서의 차이와 장단점 등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공동 인증서를 자주 써야 한다면 이 글을 읽고 한번 숙지 해두시면 앞으로도 친숙하게 사용할 수 있으실 거예요!
목차
공인 인증서란?
- 인터넷 상의 주민등록번호, 인감도장 같은 신원 증명 역할을 하는 것이 공인 인증서입니다.
- 또한 데이터도 암호화가 되어 있어서 정보를 안전하게 지킬 수도 있습니다.
- 사용처: 전자 민원, 각종 증명서 발급, 금융 업무, 은행 업무, 전자 세금 계산서, 고지 확인, 제휴 사이트 로그인, 전자 입찰 등
공동인증서란?
공인 인증서는 2020년 12월 10일에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폐지되면서 전자 신분증 역할을 했던 공인 인증서가 공동 인증서로 명칭이 바뀌어 발급 됩니다.
즉, 예전의 공인 인증서가 현재의 공동 인증서와 동일한 개념입니다.
다만 달라진 점은 이제 발급 주체가 민간 업체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여기서 민간 업체란 카카오페이, 네이버, 패스(통신 3사)가 있습니다. 각 민간 업체 별 사용처가 궁금한 분은 하단의 글을 참고해주세요.
그리고 참고로 한 명당 1개의 공동 인증서만 발급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공인 인증서가 공동 인증서로 바뀐 이유?
민간업체에서도 민간 인증서라는 전자서명 서비스가 시행됨에 따라 공인 인증서만 갖고 있던 지위가 사라져 공인이라는 단어를 공동으로 바꾼 것입니다.
공동 인증서 역할
- 인터넷에서 거래할 때 법적으로 본인 확인이 보장됩니다.
- 암호화 기법을 통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공동 인증서 바뀐 점
- 은행을 안 가도 인터넷으로 발급 가능!
- 설치가 간편해졌습니다!
- 비밀번호를 6자리 간편 비밀번호로 만들 수 있다.
- 지문과 페이스 아이디, 생체 인증, pin number 등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 클라우드에 저장되서 USB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됩니다.
- 갱신 주기가 1년이 아니라 3년으로 길어져서 재발급 빈도 수가 3배 줄어 덜 귀찮아졌습니다.
기존에 발급 받은 공인 인증서는 어떻게 되었나?
유효 기간이 끝날 때까지 유지가 되며, 끝나면 공동 인증서로 재발급을 받으면 됩니다.
민간 업체의 공인 인증서는 어디에 사용할 수 있나요?
민간 인증서에는 대표적으로 , 네이버, 카카오와 통신 3사 SKT, KT, LG U+의 패스(PASS)가 있는데요.
이제 은행 같은 금융 관련 사이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대학교나 쇼핑 및 시험 관련 사이트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든 민간 인증서의 사용처가 똑같지 않기 때문에 각각 직접 확인하는 게 정확한데요. 하단에 소개된 링크를 통해 각 민간 인증서 별 사용처를 상세히 알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민간 인증서 별 사용처 보기
카카오페이 인증서 사용처 보러가기
패스(PASS) 인증서 사용처 보러가기